미국 7월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크게 부진하며 노동시장 둔화 우려가 커졌고, 이에 따라 연내 연준(FRB) 금리 인하 전망과 달러 매도 우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주에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소매판매가 주목되며, 물가 상승세 지속 여부와 소비 동향에 따라 금리 인하 속도 재조정 가능성이 있습니다.
파운드/달러 환율은 영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영향이 제한적이었고, 달러 약세 기조를 배경으로 단기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Japan225 지수는 42,470포인트를 돌파하면 상승 가속 가능성도 엿보입니다.
Weekly Report【8/10】

중요 지표 및 이벤트
重要な指標・イベント
- 8월 12일(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관세 정책의 물가 상승 압력이 주목되는 가운데 발표 예정입니다. 관세에 따른 가격 전가 조짐이 나타날 경우, 연준(FRB)의 금리 인하 속도 재검토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CPI 상승률이 둔화된다면 연내 금리 인하 전망이 강화되며 달러 약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8월 14일(목)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기업의 매입 가격을 나타내는 지표로, CPI의 선행지표로 주목됩니다. 예상치를 상회할 경우 소비자물가로의 파급 우려가 부각되며 달러 매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8월 15일(금) 일본 실질 국내총생산(GDP)
내수 부진과 엔저에 따른 수입 비용 증가가 부각되는 가운데, 민간 소비 회복 정도가 관건입니다. 예상치를 하회하면 엔화 약세 압력이 강화될 수 있으며, 일본은행의 정책 정상화 속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핵심 지표입니다.
- 8월 15일(금) 미국 소매판매
미국 개인 소비 동향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전월의 견조한 흐름이 유지된다면 연준의 금리 인하 신중론을 뒷받침하며 달러 강세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하락 전환 시 경기 우려로 인한 위험회피 움직임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시장 펀더멘털 분석
지난주 외환시장은 미국 경제지표 부진과 정치적 불확실성이 겹치며 달러/엔 환율이 147엔대 초반에서 등락을 보였습니다. 특히 7월 미국 고용지표가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며 달러 약세와 연내 금리 인하 전망이 강화됐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통계국장 해임과 연준 이사 인사 개입 가능성 등 정치적 간섭 우려가 부각되며 달러 매도 압력이 커졌습니다. 영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영향은 제한적이었습니다.
이번 주는 12일 미국 CPI와 15일 미국 소매판매가 핵심 이벤트입니다. CPI는 관세 정책의 물가 상승 효과 여부가 주목되며, 결과에 따라 금리 인하 속도 조정 논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같은 날 발표되는 일본 4~6월기 GDP와 미국 소매판매도 중요합니다. 특히 소비가 GDP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미국 경제에서 소매판매가 전월을 웃도는 결과를 보이면 금리 인하 신중론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고용지표 충격의 여파로 시장 심리가 예민해진 상황이므로, 주요 경제지표 결과에 따라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술적 분석
영국 파운드/미국 달러 (GBP/USD)
일봉 차트에서는 20EMA가 50EMA를 하향 돌파하는 데드크로스가 나타나며 상승 모멘텀이 둔화되는 흐름입니다. 현 시점 가격은 50EMA 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단에서는 100SMMA가 지지선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RSI는 50선 부근에서 움직이며, 50선 돌파 실패 시 저항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단 저항선은 1.3486달러, 이어서 1.3616달러가 추가 저항대입니다. 하단 지지선은 1.3367달러와 1.3245달러입니다. 향후 20EMA가 50EMA를 재돌파하며 상승 반전할지, 또는 1.3367달러를 명확히 하락 이탈할지가 단기 추세 방향을 가늠하는 분기점이 될 전망입니다.

Japan225 Index (닛케이225)
일봉 차트에서 가격은 상승 추세선과 일목균형표 기준선에 지지받으며 움직여왔습니다. 최근 전환선과 기준선 모두가 하방 지지 역할을 하며 다시 상승 흐름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MACD는 플러스 구간에서 횡보하며 시그널과 근접해 있어, 향후 골든크로스 또는 데드크로스 발생 여부가 단기 방향성 결정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상단 저항선은 42,188포인트와 2024년 7월 고점인 42,470포인트이며, 이를 명확히 돌파하면 상승 가속이 기대됩니다. 하단 지지선은 40,625포인트와 39,844포인트로, 이탈 시 조정 압력과 단기 추세 전환 리스크가 커질 수 있습니다.
